728x90
반응형

전체 글 30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 분류번호 및 개요

목차 1. 의약품(醫藥品, Pharmaceutical)이란 ㅇ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을 말한다. 가. 대한민국약전(大韓民國藥典)에 실린 물품 중 의약외품이 아닌 것 나.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ㆍ치료ㆍ경감ㆍ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ㆍ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다.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藥理學的)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ㆍ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약사법에 따른 구분 으로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을 아래와 같이 분류하고 있다. 1.1. 전문의약품(專門醫藥品, Ethical drug, ETC) ㅇ 일반의약품이 아닌 의약품을 말한다. ㅇ 의사, 한의사, 치과의사의 처방전이 있어야 구매가 가능하다. ㅇ 약사법 제68조에 따른 광고가 ..

건강기능식품 비타민 일일권장량 및 영양소 기능 정리

목차 1. 영양소 종류 및 일일섭취량 - 비타민 및 무기질, 단백질, 식이섬유, 필수지방산의 기능이 있습니다. 영양소 기능성 내용 일일섭취량 섭취 시 주의사항 구리 (가) 철의 운반과 이용에 필요 (나) 유해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데 필요 0.24~7mg 단백질 (가) 근육, 결합조직 등 신체조직의 구성성분 (나) 효소, 호르몬, 항체의 구성에 필요 (다) 체내 필수 영양성분이나 활성물질의 운반과 저장에 필요 (라) 체액, 산-염기의 균형 유지에 필요 (마) 에너지, 포도당, 지질의 합성에 필요 12g 이상 (가) 특정 단백질에 알레르기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섭취 주의 마그네슘 (가) 에너지 이용에 필요 (나) 신경과 근육 기능 유지에 필요 94.5~250mg 망간 (가) 뼈 형성에 필요 (나) 에너지 ..

건강기능식품 고시형 기능성원료 vs 개별인정형원료 차이점

목차 1. 기능성 원료란? - 식약처장이 「건강기능식품 공전」에 기준 및 규격을 고시한 원료와 개별적으로 식약처장의 심사를 거쳐 인정받은 원료로 분류됨 - 기능성 원료를 사용하여 기능성을 보장하는 1일섭취량만큼 함유할 뿐만아니라 기준 규격에 맞게 제조한 건강기능식품은 기능성원료와 동일한 기능성을 표시. (예시 :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혈행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혈압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식후 혈당 상승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음’,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음’, ‘관절 및 연골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 기능성 구분 기능성 내용 질병발생 위험감소 기능 질병의 발생 또는 ..

2021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및 트렌드

목차 1. 건강기능식품 정의 -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캡슐, 액상 등 여러 가지 제형으로 제조(가공을 포함한다)한 식품을 말합니다. 분류 건기식 일반식품(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 천연식품등) 특징 1. 과학적으로 인정 받은 기능성 원료 이용 2. 건강유지 및 증진에 도움이 되는 식품 일반적으로 건강에 좋다고 알려진 식품 안정성 기능성 심사 인증 미인증 기능성 식약처 인증 인증 미인증 일일 섭취량 표기 미표기 관련법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식품위생법, 축산물위생관리법 대표제품 홍삼정 로열젤리 - 건강기능식품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고 있는 업체와 품목 수가 증가하고 ..

2021 국내 제약회사 연봉 순위

목차 1. 국내 제약회사 연봉 2021 - 4년제 대졸 신입사원 기본급 기준 - 일비(외근비용)만 기재, 통신비, 상여금, 성과급 별도 기재 - 회사명의 경우 사이트명에 기재된 기준으로 표기. ex) GSK(글락소스미스클라인) - 회사마다 연봉 인상율 및 기타비용(상여금, 성과급, 통신비) 및 수습기간은 상이함 회사명 연봉[만원] (※ 대졸 기본급 기준) 일비 [만원] 회사위치 (서울/경기 사무소 기준) CMG제약 ? ? 판교역(신분당선) GC녹십자 4,100 4 수지구청역(신분당선) HK이노엔 4,100 3 을지로3가역(2·3호선) JW신약 4,100 5 남부터미널역(3호선) JW중외제약 4,100 5 남부터미널역(3호선) LG화학(제약사업부) 4,600 ? 여의나루역(5호선) SK바이오사이언스 4,0..

2021 국내 제약회사 매출 순위

목차 1. 국내 제약회사 순위 2020 - 국내 제약시장 규모는 약 20조 원으로 나타나지만, 규모 대비 매출액 1조 클럽은 많지가 않은 것으로 나타남. - 아래 도표는 상장회사 중 상위 50개 매출 회사 지표이며 IFRS 기준과 다를 수 있음 1위 유한양행 : 1.5조 원 2위 종근당 : 1.3조 원 3위 CG녹십자 : 1.2조 원 4위 대웅제약 : 0.94조 원 5위 한미약품 : 0.87조 원 6위 광동제약 : 0.76조 원 7위 제일약품 : 0.69조 원 8위 동아 ST : 0.58조 원 9위 일동제약 : 0.56조 원 10위 JW중외제약 : 0.54조 원 (단위: 백만 원, %) 순위 회사명 매출액 증감율 (%) 영업이익 증감율 (%) 당기순이익 2020년 2019년 2020년 2019년 2020..

2021 국내 제약산업 시장 현황 및 트렌드

목차 1. 제약산업 이란? 가) 국민복지 증진과 직결 국내 제약산업의 발전은 저렴한 비용으로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평균수명 연장과 건강한 생활을 추구하고자 하는 국민보건 여건 향상 욕구를 충족시킴. 나) 고부가가치 차세대 산업 정밀화학기술과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하는 제약산업은 소량 다품종의 고부가가치 제품 창출이 가능하므로 시장 잠재력이 매우 큼. 다) 자원 및 에너지 절약형 산업 천연자원이나 화학적 부산물 또는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함으로써 대규모 장치가 필요 없으며, 재생자원의 활용을 통하여 자원 및 에너지 절약이 가능함. 라) 수출 및 고용기회의 창출 및 확대 세계 제약시장은 성장성이 크므로 국내 제약산업의 발전은 수출증대와 고급인력의 고용 및 활용 기회를 확대함. 구분 정의 관계 법률 및 규정 ..

2021 국내 바이오산업 시장 현황 및 트렌드

목차 1. 바이오산업의 특성 1.1. 바이오산업의 정의 및 개념 - 의약품은 일반적으로 화학합성 의약품과 바이오 의약품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바이오 의약품은 사람이나 생물체에서 유래된 것을 원료 또는 재료로 하여 제조한 의약품으로써 생물학적 제제, 유전자 재조합 의약품, 세포배양 의약품, 세포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기타 식약처장이 인정하는 제제를 말합니다. - 바이오산업(Bioindustry)은 바이오기술을 바탕으로 생물체의 기능 및 정보를 활용하여 제품 및 서비스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를 생산하는 산업으로 DNAㆍ단백질ㆍ세포 등의 생명체 관련 기술(Biotechnology)을 직접 활용해 의약품(의약바이오), 농업(그린바이오) 뿐만 아니라 화학ㆍ에너지(산업바이오) 및 ITㆍNT 등 첨단 기술과의 융합 ..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는 정보' 카테고리별 안내사항

목차 1. 안내사항 운영방향 및 기타 정보 수정/삭제에 대한 일종의 공지사항만 모아둔 곳입니다. 2. 의료 의료 섹션에서는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2.1. 의료정보 : 일상 속 의료정보로 예를 들자면 약국마다 약 가격이 다른 이유와 전문의, 일반의 차이, 의원? 병원? 의 차이 등 및 제약 바이오 회사 정보에 대한 내용을 모아둔 곳입니다. 2.2. 제약·바이오 회사 정보 : 각 회사의 대표 품목 , 매출, 파이프라인 등의 정보를 모아둔 곳입니다. 3. 의약품 의약품 섹션에서는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3.1 의약품 상식 : 제약/바이오산업의 트렌드, 의약품 분류, 가정상비약 등 의약품에 대한 상식을 모아둔 곳입니다. 3.2 전문의약품 정보 : 분과별 전문의약품 품목에 대한 정보입니다. 외곽지역 시골과 ..

안내사항 2021.11.02

의약/건강기능식품 컨셉의 티스토리 블로그를 개설한 이유

프롤로그 제가 겪은 부작용과 광고/마케팅으로 인한 잘못된 상식을 사실 근거로 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쉽게 안내하고 싶었습니다. - 대학생활 및 사회생활하는 동안 주변 지인들 그리고 직계가족과 제 자신이 아프거나 응급한 상황에서는 해결을 해주지 못하는 상황을 겪으면서 건강의 중요성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 예를 들어 머리가 빠지는데 이런데 좋다더라 이빨이 아플 때는 저런 게 좋더라 등등 의약품, 건강기능식품이 도움이 될지 알고 장기 복용했는데 사실과 다르거나 또는 오 처방이나 과다처방으로 인하여 제 스스로 부작용 겪어보기도 했고 했습니다. - 비록 의학, 간호 전공은 아니지만 업계 제약사 PM 업무를 하고 있는 만큼 주변 사람들에게 어려운 의약정보를 사실 기반으로 쉽게 풀어서 알리고 싶은 마음에 블로그를 시..

안내사항 2021.10.06
1 2 3
728x90
반응형